본문 바로가기

뉴스

[시사人] 고리1호기 폐쇄운동본부 공동대표 정창식 동의대 교수

반응형

 

사진=전민철 기자 jmc@kookje.co.kr

- 고리1호기 재가동 신청 시한
- 한달도 안남아 위험성등 홍보

- 원안위 플랜트 전문가 없어
- 밸브고장이 치명적일수도
- 원전 위치 양산단층 있어
- 지진위험까지 커 폐쇄해야

"후쿠시마와 접해있는 이바라키현에 사는 지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 지역 아이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소변에서 세슘이 검출되고 있다고 합니다.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고향을 버리고 외국행 비행기를 타거나 귀농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이 현재 일본의 현실입니다. 고리1호기 주변 반경 30㎞ 이내에는 부산과 울산이라는 대도시가 있고, 만약 대형 사고가 발생하면 피해는 일본과 비교가 안될 겁니다"

고리1호기 2차 재가동 신청 시한(6월 18일)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반핵단체들은 기자회견 범시민행진 등 고리1호기 폐쇄를 위해 마지막 총력전에 나섰다. 고리1호기폐쇄부산범시민운동본부 상임 공동대표인 동의대 정창식(69·토목공학과) 초빙교수도 그중 한 명이다. 특히 정 교수는 공학을 전공한 전문가로서 고리1호기의 위험성을 알리는 데 역량을 쏟고 있다.

정 교수는 고리1호기를 폐쇄해야 하는 이유가 원전 안에도, 원전 밖에도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원전 시설 자체적으로는 시설 노후화로 인한 피로도를 꼽았다. 오랜 시간 열에 노출될 경우 외벽을 감싸고 있는 콘크리트 등에도 피로가 쌓이면서 제구실을 못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원전 내에 설치된 파이프 길이만 해도 700㎞이고 크고 작은 밸브만 3만3000개입니다. 사람이 꼭 심장을 찔려야만 죽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뇌에 작은 핏줄 하나만 터져도 죽음에 이를 수 있는 것처럼 원전 역시 이 중 하나만 막혀도 터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자력안전위원회 구성원 대부분은 핵 자체에 관한 전문가이지 플랜트 전문가는 없다 보니 이를 간과하고 있습니다."

외부의 위협으로는 양산 단층을 지적했다. 현재 부산과 울산 지역 원전이 위치해 있는 지점은 태평양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양산단층이 있는 곳으로, 언제든 후쿠시마 같은 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이 정 교수의 주장이다. 이에 따라 정 교수는 "고리1호기 폐쇄는 물론이고 추가 건설도 막아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최근 원전 하면 빼놓을 수 없는 이슈가 바로 해수담수화 시설이다.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는 여러 검사에서 삼중 수소는 물론이고 유해한 방사능 물질이 확인되지 않은만큼 안전성이 입증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은 지속적인 검사가 필요하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원전 앞바다에 채수 시설을 만든 것은 '무지의 소산'이라고 잘라 말했다.

"1990년대 삼천포화력발전소로 인한 해수 변화를 연구하고자 저를 비롯해 10명의 교수, 100명의 연구진이 2년 반을 매달렸습니다. 그 결과 발전소에서는 하루에만 낙동강 물의 3배에 달하는 온배수가 뿜어져나왔고, 이는 발전소에서 15㎞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이를 근거로 당시 어업 보상금으로는 가장 큰 금액인 400억 원이 보상금으로 지급됐습니다. 그러니 발전소에서 불과 10㎞ 떨어진 지점에서 채수하는 것은 환경에 대해 그만큼 모른다는 것입니다."

정 교수는 고리1호기 연장 결정 시한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만큼 부산시의 적극적인 대책을 주문했다. "만약 사고가 발생해 도시의 절반만 피해를 입는다고 해도 칼로 자르듯 딱 절반만 피해를 보는 것이 아니라 도시 전체가 마비된다"며 "서병수 시장이 지난해 지방 선거 당시 고리1호기 폐쇄를 공약으로 제시한 만큼 부산시 역시 원전 폐쇄를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응형